네트워크의 신: 네트워크 이렇게 하니까 이해 되던데 #1
2025년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AI,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IT, 전산, 인터넷 등등 우리가 하루도 빼놓지 않고 접하는 기술에는 대부분 네트워크가 근간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를 이해하는게 이 모든 기술의 공통분모를 이해하는 것 아닐까? 오늘 그 본질적인 질문과 답을 논의해본다. 그것도 아주 속시원하게! 아래 질문에 답을 하면 네트워크의 본질을 이해 한것이다. 당신은 대답 할 수 있는가? 자 그럼 질문, #1 장비와 장비간 통신을 할때, 왜 IP만 써도 될 거 같은데 MAC address도 같이 쓰는 것인가? 위의 질문을 다시하면 IP가 이미 장비의 고유 값인데, 굳이 MAC을 쓰는 이유가 무엇 인가? 이것에 대해, 명확한 짧은 답 은 IP를 처리하는 장비와 MAC을 처리하는 장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좋은 대답은 아니다. 그럼 좀 더 좋은 대답을 해보자. 좀더 좋지만 긴 대답 은, 네트워크의 시작은 "주소" 이고 이 주소는 "진화"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헉! 네트워크의 본질이 '주소' 이고 '진화'를 했다고 ? 이게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하겠지만, 들어보면, 이제 무릎을 탁! 하고 치게 될 것이다. 즉, 처음 장비와 장비가 통신을 하던 시절에는 A라는 장비와 B라는 장비가 통신을 할 때, 그 장비의 고유 번호같은 것으로 했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무슨, www.naver.com 또는 www.google.com 과 같은 문자 주소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전산과 네트워크가 겨우 걸을마를 시작할 즈음에는 가령, A라는 PC와 B라는 PC를 케이블로 연결하고, 각 장비의 고유 번호로 통신을 한것이다. 이것을 눈치 빠른 사람이라면 눈치 챘겠지만, MAC 주소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단순히 두개의 PC를 케이블로 연결한 것이다. 그래도 통신이 된다!!! 위에서 보시다 시피 PC0에서 PC1로 ping 이 되는게 보인다. 여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