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정보통신망 I 수업 리뷰 및 난이도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시험문제 풀이

 <방송대 정보통신망 수업 리뷰 및 난이도>

▩ 한마디 요약 : 

가장 도움이 되었던 과목! 손진곤 교수님의 이해 중심의 교수법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

반드시 듣기를 강추!!!


개설학년: 4학년

교수: 손진곤

난이도: 상

기타:

정보통신망 수업은 4학년 수업답게 어렵다. 특히 수업을 떠나서 현업으로 가면 가장 어려운 분야이기도 한듯한다. 웬넘의 스위치와 허브, 백본이 그렇게 많은지. 또한 전산전공자들이 윈도우즈나 리눅스에는 익숙하지만, 네트워크로 가면 시스코 시스템을 이해해야 하는데, 얘들은 얘네만의 OS를 쓰고 있어서 진입장벽이 되는 느낌이다. 나도 윈도우즈나 리눅스까지는 대충 쓰기도 하고 주변에서 자주 접하기도 하는데, 네트워크 담당자가 시스코 단말기에서 시스코 명령어를 쳐대면 하나도 이해가 안간다. ㅋㅋㅋ 하지만, 본 수업에서는 특정 제조사의 명령어를 다루지는 않기에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다. 이공계에는 선수과목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인문계에도 존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 실수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자연수, 정수에 대한 개념이 선행되어야 하고 유리수 무리수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실수에 대한 개념이 이해 되는 것이다. 즉, 앞의 것을 이해해야 뒤의 것이 이해가 된다는 뜻이다. 정보통신망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요즘에는 인터넷을 모르는 사람이 없고 네트워크라는 단어의 뜻을 모르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일단 기본적인 개념이 널리 퍼져있어서 정보통신망 수업이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파고들면 정보통신망처럼 어려운게 없다. 보안의 문제, 장애의 문제 등등 현업에서는 매우 고달픈 분야이다. 전산 전공자라면 꼭 들으라고 추천한다.


교수 티칭 스타일:

학생의 입장에서 교수를 평가하는게 웬지 불경한 일을 하는 느낌이 드는 것은, 내가 나이가 많아서 일까, 유교문화에 젖어 있어서 일까. 여튼 요즘은 수업후 수업평가(?) 교수평가(?)를 공식적으로 하니, 나도 해도 될 것 같아서 남긴다.


티칭 스타일 장점:

교수님마다 티칭 스타일이 있다. 손진곤 교수님 티칭 스타일은 원론적이고,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개인적으로 매우 감사하고 나에게 맞는 방식인듯 하다. 암기가 아닌 이해를 기반으로 하니 지겹지도 않고 재미있다. 


티칭 스타일 단점:

가끔 나는 이해가 안되는데 교수님은 당연히(?)이해가 되셔서 그런지 쉽게 푸시고 넘어가는 부분이 있다. 나중에 구글링 유투브를 찾아봐도 잘 안나와서 이해하고 넘어가는데 애먹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일이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수업시간의 길이 때문이다. 손진곤 교수님 수업은 50분을 쉽게 넘어서 1시간 30분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 수업시간일 길어진다고 불만스럽지는 않다. 다만 길어지면 길어지는 만큼 계속 자세히 해주면 좋은데, 가끔은 설명을 끝까지 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생긴다. 


티칭 스타일 결론: 

손진곤 교수님의 티칭 스타일은 학생 입장에서는 매우 감사하다. 많은 내용과 중요한 내용을 이해의 관점에서 알려주시려고 노력하시고, 학문, 지식에 대한 애정이 가득하다는 느낌이 가득하다. 방송대의 특성상 강의가 녹화되고 온라인으로 공급되다보니, 실력이 없는 교수님들은 설 수가 없는게 방송대 강의의 특징이다. 손진곤 교수님은 그 중에서도 특히 실력과 열정이 가득하신 분중에 하분 이신듯 하다.





핵심개념:

아래의 펄스코드변조는 시험문제에도 잘 나오고 실제로 중요한 개념이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과정이다.


아날로그들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과정(예)

아래의 예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과정 이해하기>

위의 그림에서 원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를 의미한다. 어떤 음악 소리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하다. 이러한 음악소리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아날로그방식으로 그린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PAM 펄스: 여기에서 소리의 높이를 수자로 변환하여 13, 37, 12 이런식으로 높낲이를 수치화 한다.

PCM 펄스: PAM펄스는 아날로그 신호를 그대로 수치화 한것이고 이러한 PAM 펄스를 단순화 한것이 PCM 펄스이다. 여기에서 단순화른 것은 말 뜻 그대로 인데, 예를 들어 13을 한자리로 표현하면 2는 아니고 1에 가까우니까 1로 표현한다. 37은 40에 가까우니 4로 하고, 12는 1에 가까우니 1로 표현하고, 어려워 보이지만 매우 쉬은 개념이다. 그냥 단순화!


PCM 결과: PCM 펄스를 이진수로 표현한것이다.


표본화(Sampling)

표본화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이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양자화(Quantization)

양자화는 표본화된 샘플들의 값을 특정 범위의 값으로 제한하는 과정입니다. 실제 아날로그 값은 무한한 범위와 세밀함을 가지고 있지만, 디지털 신호에서는 이를 유한한 수의 비트로 표현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 샘플의 값을 가장 가까운 사전 정의된 수준(양자화 레벨)으로 반올림하거나 내림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양자화 과정에서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자화 레벨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그만큼 더 많은 비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부호(Encoding)

복호화는 부호화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디지털 비트 패턴을 양자화된 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재구성합니다. 복호화 과정은 DAC(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해 수행됩니다.


문제수준

문제수준은 아래와 같다.첫번째 문제인데 틀렸넹 씽...ㅠ_


아 아래 문제는 겨우 맞췄넹. 근데 찍었다...ㅋㅋ




   (중요) 이 문제는 중요하다. 3대 요소에는 메세지가 없다는 것을 기억할 것!!!

    정보원(정보 발신자) 전달매체(케이블 같은 것) 수신체(정보 수신자)


2강이면 처음인데 문제가 ㅎㄷㄷ 어렵다.


(풀이) 




유니코드는 16비트임



<이해문제-중요>
256개의 ASCII 글자 블록의 전송에 대하여 시작 펄스와 정지 펄스를 각각 1비트씩 사용하는 비동기식 전송의 경우 최대 효율은?

<풀이>
* 비동기식 전송에서는 각 문자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기 위해 시작 펄스(보통 시작 비트라고 함)와 정지 펄스(정지 비트)를 사용

* ASCII 문자를 표현하는 데 8비트
  • 시작 펄스(비트) 1개
  • 정지 펄스(비트) 1개

따라서 각 문자당 총 10비트가 필요합니다.

효율= 전송 비트 데이터 비트 ×100%


이 경우 데이터 비트 수는 8비트이고, 총 전송 비트 수는 10비트입니다. 따라서 최대 효율을 계산하면:

효율=810×100%


위성 마이크로파 통신이 '소프트와이어드 미디엄'(softwired medium)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물리적인 케이블 연결이 없이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소프트와이어드"라는 용어는 물리적인 하드와이어 연결 대신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나 무선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장비나 서비스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성 마이크로파 통신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지구상의 한 지점에서 위성을 통해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와이어드" 즉, 유선 연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repeater>

* repeater는 신호 증폭

* hub는 기본적으로 repeater이지만, 멀티 포트이다.(더미허브 / 스위칭 허브 / 스태커블 허브(캐스캐이드 케이블 필요))

==> repeater와 hub는 물리계층에 속함


<bridge>

*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브리지의 키워드는 LAN이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다.

<<중요>> 데이터 링크 / 물리계층 ==> MAC 주소 사용

<<중요>> 네트워크 계층 부터는 IP 주소 사용



<router>

*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 속함

* ethernet (lan) - 연결(bridge) - ethernet (lan) 이지만, 아래 그림과 같이 먼 네트워크로 연결시에는 router 를 사용한다.(ip사용)

















==> 멀티드롭선로는 버스형임


==> 최근에는
브리지의 기능과 성능을 향상시킨 스위치가 주로 사용된다.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정답입니다.
정답 : 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고 전송된 데이터를 받는 것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프로세서, 프로토콜, 자동 하드웨어 감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 프로세싱 지원과 같은 기본적인 운영 체제 기능

- 관리, 로그온 제한, 접근 제어와 같은 보안 기능

- 이름과 디렉터리 서비스

- 파일, 인쇄, 웹 서비스, 백업 및 복원 서비스





왜 80% 의 전송효율이 계산되는가?

10비트의 정보를 생각하면 실제정보는 8비트 이고 앞쪽과 뒤쪽에 각 1비트 씩 존재하므로


실제 정보 8비트 + 오버헤드 2비트 = 10비트 이므로 정보는 80% 이다.









<<데이터 교환 방식>>





인터넷망은 패킷교환 방식이다.

MTU (64KByte를 쓰는 이유)

1. 1기가를 보낸다고 할때, 1기가 덩어리로 보내다가 1kbyte만 잘못 되면 다시 보내야 함

2. 1기가를 보내면 회선을 계속 차지하게됨 --> (1kbyte) 보내는 얘가 1시간 기다리는 불편






패킷교환방식에는 크게 두종류가 있다.



가상회선 방식은 일단 논리적 경로가 정해지면, 회선교환 방식과 유사하다.

(가상회선을 만들고 나서 패킷을 보낸다)

가상회선방식은 선로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패킷이 순서대로 전달된다.


데이터그램 방식은 선로를 정하지 않고, 패킷을 보내고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서 선로를 정한다. 그래서 패킷의 순서가 바뀔수 있으며, 속도가 빠르다.






















정보통신에서 투명하다는 것은 입력 데이타와 출력데이타가 동일 하다는 뜻이다.

데이터에 의도치않은 변화가 없다는 뜻이다.



정보통신 다중화의 개념 

* 왼쪽의 경우 선로가 여러개가 존재하고 사용하지 않을때가 발생 --> 낭비

* 오른쪽의 경우 멀티플레서와 디멀티플레서를 사용하여 절감

* 멀티플렉서: 여러개의 정보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 디멀티플렉서: 한개의 정보를 여러개로 나누어 출력




* 시분할 다중화 방식: 시간을 나누어서 자원(선로)를 공유

*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ATDM) - 사용량이 많은쪽에 시간을 배분

*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 통계적으로 사용량이 많은쪽에 시간을 배분






* 위의 그림에서 한칸 한칸을 타임슬롯이라고 한다.

* 위의 그림에서 만약에 칸이 비게 되면(empty)그대로 보내지 않고 다른 자료를 채운다 -->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 다중화기(multiplexing)

* 역다중화기(demultiplexing)


*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은 frequency를 carrier로 하여 정보를 싣어 나르는 고 복조 하는 것이다.(중요 이해 할 것 - 아래그림)



- 아래 그림 이해(중요) - 

시간분할 다중화와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차이점

시간 단위에 따라(1/20 sec)에 정보의 단위가 움직이면 시간분할 다중화

고주파혹은저주파에 frequency에 따라 정보가 흩어져서 움직이면 주파수 분할



시험문제!!! 데이터 교환방식 (4가지 특징)



강의에서는 4번이 정답이라고 했지만, 정답은 2번으로 보인다.

1번 보기 클록이 한개라면 이것은 비동기전 전송이라 맞고

2번 보기 송신지국이라해야 맞는데 수신지국이라해서 틀림 --> 정답

3번 보기 클록 두개면 동기식 전송이라 맞고

4번 송신지국에서 시작/정지 신호 보내는 거니까 맞다.

<5강>





(중요) 컴퓨터 통신망 혹은 정보통신에서 주소지정이 필요한 이유
정보통신망 혹은 컴퓨터 통신망ICT 자원을 공유하기에 식별 혹은 구분이 반드시 필요
▶ 전용선에서는 주소지정의 필요성이 없다. 이미 식별이 1대1로 매칭되어있으니까










<중요> 오류란

→ 송신데이터: abc / 수신데이터: abf

<중요> 오류의 발생원인
→ 열, 자기장, 간섭, 고장 등






<중요> 전진오류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전진오류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매우 신기한 기술이다. 데이터전송이 끝나고 오류를 검출할 뿐 아니라 수정까지 한다. 이름이 전진오류정정이라 되어있는 이유검출 후 수정이라는 순서를 따르기 때문인듯하다. 


<중요> 후진오류정정(backward error correction)

→ 후진오류정정ARQ가 시험문제이다. 




<중요> 패리티 비트 검사 원리

예) 아래의 그림에서 보내는 데이터가 1010이라고 한다면, 

홀수패리티 전략의 경우 1의 숫자를 홀수로 맞추어야 함으로 패리티 비트는 1이 되어

1 1010 이된다. 맨 앞의 1은 overhead 이다.

만약 짝수 패리티 전략의 경우라면 이미 1이 짝수개이므로, 패리티 비트는 0이되어

0 1010이 된다.



위의 패리티 검사를 1차원 패리티 검사(단순패리티 검사)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홀수 피래티 검사이다. 또한 가로 방향의 패리티 검사이므로, 오류가 있다고 해도 동시에 짝수개의 비트오류가 발생하면 오류 검출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아래의 방식은 짝수 패리티 검사이다. 또한 2차원 패리티 검사이기 때문에 오류 검출율이 높아진다. 즉, 가로만 체크하는 것이 아니고 세로 방향도 체크하기 때문이다. 



<중요> checksum 비트 검사 원리




예) Network를 checksum방식으로 검사
1. 세그먼트로 나누고
2. 각 세그먼트를 더하고
3. carry bit도 더하고
4. 1의 보수로 바꾸어
5개의 세그먼트를 보낸다.







중요 예) 위의 예제를 보면서 checksum을 이해해 보자
<송신측>
1. 보내는 데이터: 00100110
2. 세그먼트화(4비트씩 자른다): 0010 0110
3. 각 세그먼트를 더한다. 더하면 1000이 되고 carry bit는 없다 그러므로 carry bit는 더하지 않음
0010
0110
-------
1000

4. 합값에 대한 1의 보수를 취한다.
0111

<수신측>
1. 데이터와 체크섬을 합한다.
0010  ← 보내는 데이터 세그먼트
0110  ← 보내는 데이터 세그먼트
0111  ← checksum
---------
1111

2. 1의 보수를 취한다.
0000

그러므로 데이터가 정상이다.

                                 

        









Q1

다음 중 옳은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3
3번과 4번이 정답인듯하다.















<중요> 시험문제




주소지정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오답입니다.
정답 : 2

주소지정방식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① 계층구조에서 계층의 수

② 부 네트워크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소와 관련된 서비스의 종류

③ 같은 주소를 갖는 지국의 수

④ 주소할당 모드

<풀이>
  1. 계층 구조에서 계층의 수 - 네트워크 주소가 어떻게 여러 단계로 나뉘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IP 주소의 경우 네트워크, 서브네트, 호스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부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라우팅 기법의 종류 - 이 선택지는 틀린 기준입니다. 주소 지정 방식은 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라우팅 기법'이 아니라 '주소와 관련된 서비스의 종류'를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라우팅 기법은 주소지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주로 트래픽을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네트워크의 동작 방식을 설명합니다.

  3. 같은 주소를 갖는 지국의 수 - 같은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지역이나 장치의 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소 지정 방식에서 중요한 요소로, 주소의 범위와 할당 방식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주소할당 모드 - 네트워크 주소가 어떻게 할당되는지, 예를 들어 정적 할당인지 동적 할당인지를 나타내는 기준입니다.

<네트워크 / 서브네트워크 / 호스트 를 쉽게 이해하기>

IP 주소는 사람이 사는 집 주소와 비슷해. 우리가 주소를 사용해서 편지를 친구 집에 보내듯이, 컴퓨터도 IP 주소를 사용해서 인터넷을 통해 서로 정보를 보내고 받아. IP 주소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어: 네트워크 부분, 서브네트 부분, 그리고 호스트 부분이야.

  1. 네트워크 부분: 이것은 우리 동네 이름처럼, 어떤 큰 지역(또는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알려줘. 예를 들어, "서울"이라는 큰 지역을 나타내는 것이지.

  2. 서브네트 부분: 이 부분은 네트워크 내에서 더 작은 구역을 나타내. 이건 "양천구" 같은 특정한 동네를 말해. 이렇게 구역을 세분화해서 특정 부분만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어.

  3. 호스트 부분: 마지막으로, 이 부분은 그 동네 안에 있는 "집 번호" 같은 거야. 즉, 특정한 컴퓨터나 장치를 정확히 지정하는 번호야.

예를 들어, IP 주소가 192.168.1.10 이라고 하자:

  • "192.168"는 우리가 사는 큰 동네와 작은 동네를 말해주고,
  • "1"은 그 작은 동네 안의 블록을 나타내며,
  • "10"은 그 블록 안의 특정 집(컴퓨터)을 말해.

이렇게 각 부분이 잘 조화를 이뤄서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올바른 위치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도와줘. 그래서 컴퓨터들은 서로를 정확히 찾아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거야!


Q5

오류제어에 관련된 서술 중 옳은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1

송신지국과 수신지국 사이에 전방향 채널(forward channel) 외에 역방향 채널(backward channel)이 존재하고 이 채널을 이용하는 모든 오류검출방법을 귀환오류제어(feedback error control)라고 한다.

결정귀환방법은 수신지국에서 오류 여부를 결정한다.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수신지국이 데이터 블록의 재전송을 송신지국에게 요구하고,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블록을 보내줄 것을 송신지국에게 요구한다.

정보귀환방법은 전송된 블록이 재전송되어야 할 것인지 또는 다음 블록이 전송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송신지국이 한다. 따라서 송신지국은 이를 판별하는 결정 기준을 갖고 있어야 한다.

복합귀환방법은 오류율을 줄이기 위하여 결정귀환과 정보귀환을 혼합한 방법으로 두 방법에 비해 효율성이 낮고 복잡성이 다소 증대된다.

<귀환오류제어-feedback error control 쉽게 이해하기>

너와 네 친구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종이비행기를 날려서 메시지를 주고받기로 했어. 너는 메시지를 적은 종이비행기를 네 친구에게 보내는데, 이걸 '전방향 채널'이라고 생각하면 돼. 그리고 네 친구가 종이비행기를 받고 나서, 메시지를 잘 받았다는 신호를 다시 너에게 보내줘. 이걸 '역방향 채널'이라고 해.

만약 네 친구가 메시지를 받았는데 글자가 지워져서 잘 안 보인다면, 네 친구는 "다시 보내줘!"라고 신호를 너에게 보낼 거야(역방항)--> feedback error control. 너는 이 신호를 받고, 메시지를 다시 적어서 종이비행기를 한 번 더 보내. 이런 식으로 메시지가 잘못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다시 보내는 것을 '귀환오류제어'라고 해. 즉, 네 친구가 메시지를 제대로 받았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있으면 네가 다시 보내주는 방식이야.

이렇게 서로가 메시지를 잘 받았는지 계속 확인하는 걸 통해, 너와 네 친구 사이의 대화가 더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거지.

송신측이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들에 번호를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보내다가 REJ 명령을 수신하면 REJ 명령과 함께 수신된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 프레임부터 다시 연속적으로 보내는 ARQ 방식은?

오답입니다.
정답 : 3

귀환오류제어(feedback error control) 방법 중 수신측에서 오류를 검축하고 송신측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법을 결정귀환방법이라고 한다. 결정귀환방법의 대표적인 것이 ARQ 방법으로 정지-대기(stop-and-wait) ARQ, 연속적 ARQ, 적응적(adaptive) ARQ 등이 있다. 특히, 연속적 ARQ에는 다시 sliding window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go-back-N ARQ와 reject된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selective-repeat ARQ가 있다. 주어진 문제는 go-back-N ARQ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가. 후진오류정정방식은 송신자는 한 곳이고 수신자는 여러 곳인 동시통신 등과 같이 재전송이 어려운 환경에 사용된다.

나. 후진오류정정방식에는 Hamming코드, Reed-Muller코드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 전진오류정정방식은 송신측이 전송할 프레임에 부가적인 정보를 첨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측이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까지 할 수 있다.

라. 오류제어를 위해 ARQ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ARQ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정지-대기 ARQ, 연속적 ARQ, 적응적 ARQ 등이 있다.

오답입니다.
정답 : 4

(가)(나)는 전진오류정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전진오류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은 송신측이 전송할 프레임에 부가적인 정보를 첨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측이 오류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수신한 비트열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송신자는 한 곳이고 수신자는 여러 곳인, 즉 동시통신 등과 같이 재전송이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된다.

대표적인 전진오류정정 방식에서는 해밍(Hamming) 코드, 리드-뮬러(Reed-Muller) 코드,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 등을 사용하고 있다.


지구에서 목성 탐사선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관련이 깊은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4

지구에서 목성 탐사선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재전송이 어려운 환경이므로 전진오류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과 관련된 것을 선택하는 문제이다. ①, ②, ③번은 ARQ 방법과 관련이 있고 ④번의 Hamming code는 전진오류정정 방식에서 사용되는 코드이므로 정답이다.

<5강>













수신측에서 처리가 힘들때, 송신측으로 Stop을 보내서 못 보내게 하고
처리가 가능할때, go 신호를 보내서 자료의 송수신을 관리





다음 중 흐름제어의 네 가지 원칙과 각 원칙과 관련된 방법을 서로 연결한 것으로 부적절한 것을 고르세요.

정답입니다.
정답 : 2  --> 오류제어: 오류시에 전체 데이터를 다시 보내는 것(go back N)
<풀이>
  1. 속도 조절의 원칙 - 이 원칙은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자가 처리할 수 있는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choke packet이 이 원칙과 관련 있습니다. 이는 수신자가 너무 많은 데이터를 받고 있을 때 송신자에게 전송 속도를 줄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방법입니다.

  2. 거부의 원칙 - 이 원칙은 수신자가 처리할 수 없을 때 추가 데이터의 수신을 거부하고, 송신자가 이를 인지하고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거부의 원칙과 관련된 표준 방법은 명시적인 거부 신호를 보내는 것이지만, go-back-N 방법은 거부의 원칙을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오류 발생 시 송신된 모든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방법이며, 거부보다는 오류 제어와 관련이 깊습니다.

  3. 단일 승낙의 원칙 - 이 원칙은 각 패킷이 개별적으로 승낙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ask-and-wait 방법이 이 원칙과 관련이 있으며, 송신자가 한 번에 하나의 메시지만을 보내고, 해당 메시지에 대한 승낙을 받은 후 다음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4. 다중 승낙의 원칙 - 이 원칙은 여러 패킷들이 동시에 승낙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sliding window 방법은 이 원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방법에서는 송신자가 승낙 없이 여러 개의 패킷을 연속적으로 보낼 수 있으며, 수신자는 이들 중 일부만을 승낙하여 송신자가 윈도우를 "슬라이드"하고 추가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



















다음 라우팅 방법 중 적응적 라우팅 방법을 고르세요.

정답입니다.
정답 : 4


다음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3

흐름제어, 혼잡제어, 라우팅은 부 네트워크의 내부 환경이 변하더라도 통신망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흐름제어는 지국 쌍에 관해 주안점을 두고 미리 규정된 범위 내에서의 성능유지를 목적으로 한다.

혼잡제어는 버퍼의 혼잡, 노드의 혼잡, 부 네트워크의 국부 혼잡이나 전체 혼잡을 막아주는 것이다. 

라우팅은 데이터 블록이 목적지 노드에 전달되도록 출발지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을 분산시키고 부 네트워크의 성능을 증대 또는 최적화시켜 어느 정도 부 네트워크의 혼잡을 줄일 수 있다.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을 이용하는 흐름제어와 관계가 깊은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4

흐름제어의 네 가지 원칙으로 속도조절, 거부, 단일승낙, 다중승낙 등이 있다. 다중승낙은 매 승낙마다 미리 약속된 개수의 블록만을 전송하거나 혹은 승낙마다 블록의 개수를 다시 결정하여 동적으로 전송시키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이 대표적인 예이다.

다음 중 흐름 제어의 원칙과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부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2

속도 조절의 원칙은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 간의 도착 시간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으로 chock packet을 이용한 감속 방법으로 구현된다. 거부의 원칙은 송신측에 대한 수신 거부의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송신하기 이전에 수신을 거부하기 위한 방법으로 stop-and-go 방법을 사용한다. 단일 승낙의 원칙은 송식측이 데이터 블록을 송신할 때마다 매번 수신측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것으로 wait-before-go 방법과 ask-and-wait 방법으로 구현한다. 다중 승낙의 원칙은 미리 정해 놓은 수만큼의 데이터 블록을 송수신하는 것으로 sliding window 방법으로 구현된다. 

정답은 ②번인데, check sum 이용 방법은 오류제어 방법 중 하나로서 흐름제어와는 무관하다.



다음은 어떤 라우팅 방법을 설명한 것인가?

적응적 라우팅 방법 중 하나로 초창기의 ARPANET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정답입니다.
정답 : 2

분산형 라우팅은 라우팅 정보가 이웃하는 노드에서만 교환된다는 사실을 이용한 적응적 라우팅 방법 중 하나로서, 대표적인 보기로는 초창기의 ARPANET에서 찾아볼 수 있





다음 중 비적응적 경로선택 방법인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2

경로선택 방법은 크게 비적응적 방법적응적 방법으로 구분한다. 비적응적 방법에는 랜덤(random) 경로선택, 플러딩[또는 범람](flooding) 경로선택, 그리고 고정(fixed) 경로배정 등이 있다. 적응적 방법에는 국부적(local) 경로배정, 분산(distributed) 경로배정, 델타(delta) 경로배정, 중앙집중형(centralized) 경로배정 등이 있다.


<7강>


















OSI참조모델 = > Open System Interconnetion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을 위한 이론 혹은 참조 모델)

IT 에서 투명성이란 - 세부적인 내용은 몰라도 됨 / 각 역할에 따라 진행이 됨.

(transparency)






<8강>

* 투명성 - "다 알필요는 없다"는 뜻.
* cloud 서비스 - cloud내부는 알필요없다. --> 서비스만 사용하면 된다.












IGMP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3
  1. <풀이>

  2. IGMP, 즉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특별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규칙을 말해요. 보통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만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때로는 한 사람이나 한 기계가 많은 사람들에게 동시에 같은 메시지를 보내고 싶을 때가 있어요. 예를 들어, TV 채널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보는 것처럼 말이죠.

    이럴 때 사용하는 방법이 멀티캐스트라고 해서, 특정한 그룹의 사람들만 그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거예요. IGMP는 이 멀티캐스트를 사용할 때, 누가 그 메시지를 받을지 관리해 주는 역할을 해요. 마치 학교에서 선생님이 필드트립 가는 학생 명단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돼요.

    간단히 말해서, IGMP는 인터넷에서 여러 사람에게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보내는 방법을 도와주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어요!



  3. <중요개념-보기 4번에 대한 풀이>

  4. 보기4번:  IGMP 질의 및 보고 메시지를 통해 그룹 가입 및 탈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네가 친구들과 함께 영화를 보고 싶다고 생각해 봐. 네가 보고 싶은 영화를 선택하면, 그 영화를 보려는 친구들끼리 모여서 그룹을 만들어. IGMP에서는 이런 모임을 '그룹 가입'이라고 해. 인터넷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나. 어떤 정보나 영상을 받고 싶은 컴퓨터들이 모여서 특별한 그룹을 만들어, 그리고 그 그룹에 가입해.

    이제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친구들이 집에 갈 시간이 되면, 모임에서 나오잖아? 이걸 IGMP에서는 '그룹 탈퇴'라고 해. 컴퓨터들도 마찬가지로, 필요한 정보를 다 받았으면 그룹에서 나와서 다른 일을 하게 되지.

    그럼, 친구들이 언제 모이고 나가는지 어떻게 알까? 그걸 돕는 것이 'IGMP 질의 및 보고 메시지'야. '질의 메시지'는 마치 선생님이 "여기 계신 분?" 하고 부르는 것 같고, 컴퓨터들은 "네, 여기 있어요!" 하고 대답하는 '보고 메시지'를 보내. 이렇게 해서 컴퓨터들은 그룹에 제대로 들어가 있고 나갈 수 있어.

    그래서, "IGMP 질의 및 보고 메시지를 통해 그룹 가입 및 탈퇴가 가능하다."는 말은, 인터넷에서 이런 식으로 정보를 받고 싶은 컴퓨터들이 그룹에 잘 들어가고 나올 수 있게 도와주는 규칙이 있다는 걸 의미해.

    1. "인터넷에서 멀티캐스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이는 IGMP의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로, 인터넷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의 관리를 통해 멀티캐스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설명은 올바릅니다.

  5. 2. "클래스 D 주소를 사용한다." - 멀티캐스트 주소는 클래스 D IP 주소(224.0.0.0부터 239.255.255.255까지)를 사용합니다. 이 설명도 올바릅니다.

  6. 3.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프로세스만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이 설명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프로세스는 그룹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나,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멀티캐스트 메시지의 전송은 멀티캐스트 그룹의 구성원 여부와는 무관하게 가능합니다.

  7. 4. "IGMP 질의 및 보고 메시지를 통해 그룹 가입 및 탈퇴가 가능하다." - IGMP는 질의 메시지와 보고 메시지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비가 멀티캐스트 그룹의 구성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설명은 올바릅니다.

따라서 3번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프로세스만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IGMP에 관한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 DNS는 호스트 테이블과 유사한 방법이지만, 계층적 구조이고 특정네트워크 정보만 갖으며, 수작업의 오류 가능성이 존재




<중요개념 - bootp 추가 설명>

디스크가 없는 호스트(X터미널): 이건 컴퓨터 같은 기기를 말해, 근데 일반적인 컴퓨터와 다르게 하드 드라이브(정보를 저장하는 큰 서랍장 같은 거)가 없어. 이런 기기들은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다른 컴퓨터나 서버에서 받아서 사용해. 너희 학교의 컴퓨터실에 있는 컴퓨터들이 하나의 중앙 컴퓨터에서 모든 프로그램과 파일을 받아서 쓰는 것과 비슷해.

주소 및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프로토콜: 이건 디스크가 없는 호스트가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필요한 '주소'(우리가 집 주소를 사용하는 것처럼 인터넷에서 컴퓨터 위치를 알려주는 것)와 '설정 정보'(컴퓨터가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정하는 규칙들)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규칙이나 방법을 말해. 가장 흔한 예는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이야. DHCP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바로 인터넷이나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줘.

요약하면, 이 프로토콜은 디스크가 없는 컴퓨터가 다른 곳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받아서, 스스로를 인터넷에 연결하고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도와주는 규칙을 말해. 이로 인해 사용하기 편리해지고, 관리가 더 쉬워져.







라우팅 테이블이 제공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3

라우팅 테이블은 필드는 마스크, 목적지 IP 주소,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 다음홉 라우터의 IP 주소, 플래그, 참조횟수, 사용,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ARP와 관련이 없는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4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호스트들간의 통신을 위해 IP 주소를 물리주소로 매핑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모든 호스트는 AR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호스트의 물리주소를 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임의의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의 물리주소를 얻고자 할 때마다 대상 호스트의 IP 주소를 포함한 ARP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들에게 브로드캐스트 한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대상 호스트는 자신의 물리주소가 포함된 ARP 응답 메시지로 응답한다. 

디스크가 없는 호스트는 자신의 물리주소로만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RARP를 이용하여 자신의 물리주소와 매핑되는 IP 주소를 로컬 네트워크상의 모든 IP 주소를 알고 있는 특정 장치로부터 얻어낸다.


ICMP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4

ICMP는 인터넷에서 IP를 대신하여 오류 또는 제어 메시지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ICMP 메시지는 목적지로 반드시 전송되어야 하므로 IP 데이터그램으로 전송된다. ICMP 메시지는 유형 및 코드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다.



DHCP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1

IP 주소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호스트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인터넷 상에서 호스트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각 호스트를 식별해주는 인터넷 주소가 필요하다.

<9강>

다음 중 전송 계층의 설명이 아닌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2
<풀이>
2번.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 이 서술은 부분적으로 사실이 아닙니다. 전송 계층의 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반면, UDP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중요 개념>
네트워크 프로토콜(IP)는 host-to-host protocol이다. 이말은 IP는 machine to machine 연결 프로세스라는 뜻이다. 
반면에, 전송계층 프로토콜(UDP & TCP) process-to-process이다. 이말은 udp 혹은 tcp는 machine안의  application to application 프로토콜이라는 뜻이다.

<중요 개념-socket address>

In computer science, a socket address is the combination of an IP address and a port number that uniquely identifies a network socket on a computer within a network. In the context of internet networking:

  • The IP address specifies the location of a device on a network, and it's akin to a street address in the real world. It allows the network to identify the host that is sending or receiving data.

  • The port number is associated with the IP address and identifies a specific service or application running on that device.

Together, they form the socket address which is used by the TCP/IP protocols to establish connections and exchange data between a client and server in network communications. Sockets are the endpoints of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 in which data can be sent and received over a network.

For example, a web server might have a socket address consisting of the IP address 192.168.1.1 and the port number 80. This socket address would be written as 192.168.1.1:80, with the colon separating the IP address and the port number.







TCP의 신뢰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1
<중요 풀이>
1번에 대하여 - "IP의 기능을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 TCP는 IP(인터넷 프로토콜) 위에서 작동하며, IP는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하지만, 자체적으로는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IP는 주로 라우팅과 데이터 패킷의 주소 지정 역할을 담당하며, 패킷 손실, 순서 바뀜, 중복 수신 등에 대한 처리는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CP의 신뢰성 있는 전송 기능과 IP는 별개의 것입니다.



TCP는 process to process 연결
IP는 device to device 연결

<10강>


































* 메일서비스에서 같은 메인프레임이라하면 google / naver 등 을 의미?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과 포트번호가 동일한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1

FTP는 21, SMTP는 25, POP3는 110 포트이다.

HTTP의 설명이 틀린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2

HTTP에서 반환되는 정보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의 정의에 의한 데이터 속성이나 서버 종류 같은 헤더 정보와 함께 요청받은 데이터가 반환한다.



파일 전송 서비스의 설명이 틀린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2

FTP는 21번 포트는 파일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받는다. 접속이 된 후에는 20번 포트를 통해 실제 파일 전송을 한다.


원격 접속 서비스의 설명이 틀린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1

텔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23번 포트 번호를 이용하고,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메일 서비스의 프로토콜과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4

메일 서비스를 위해서는 SMTP, POP3, IMAP 등 크게 3가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 SMTP: 메일을 송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써, TCP/IP 호스트 사이의 메일을 전달할 때 사용된다.

 · POP3: 메일을 전송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써, 로컬에서 메일을 수정, 삭제해도 메일서버에는 변화가 없다. 

 · IMAP: 메일을 전송받을 때 사용되는 또 하나의 프로토콜로써, POP3의 단점인 비동기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다. 이는 로컬마다 데이터가 다르지 않고 어떤 디바이스에서 메일을 열든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11강>

LAN에 의해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얻을 수 있는 효과로 부적절한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3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설명이 부적절한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4


베이스밴드 LAN



매체접근 방법에 의한 LAN 분류 중 설명이 부적절한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3








LAN의 특성으로 부적절한 것은?

정답입니다.
정답 : 2

LAN은 종합적인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고도의 정보망이다.

LAN의 주요 특성으로는 단일기관의 소유, 광대역 전송매체의 사용으로 고속통신 가능, 네트워크 내의 어떤 기기와도 전송 가능, 패킷 지연 최소화, 라우팅 불필요, 낮은 오류율, 확장성과 재배치성 우수, 종합적인 처리능력 등이 있다.


성형 LAN의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3

성형 LAN은 중앙의 제어기와 모든 노드가 점 대 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성형 LAN은 전화국의 교환기를 중심으로 다수의 전화기가 연결되는 전화망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앙의 제어기와 모든 노드가 점 대 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성형 LAN의 장점은 고장 발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하나의 노드에서 고장이 발생하여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성형 LAN의 단점은 중앙의 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통신이 불가능해지고 네트워크 설치 시 통신선로의 구축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

다음은 어떤 LAN을 설명하는 것인가?

통신회선에 컴퓨터의 내부 코드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직접 그대로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LAN으로, 데이터 전송 시 통신회선이 하나의 전송 채널을 사용하며 디지털 신호의 심한 신호감쇠현상으로 네트워크의 확장을 위해서는 리피터(repeater)가 필요하다.


정답입니다.
정답 : 1

베이스밴드 LAN에 관한 설명이다.

베이스밴드 LAN은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직접 그대로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의 LAN이다.

베이스밴드 LAN의 특징으로는 데이터 전송 시 하나의 전송 채널만을 사용하여 고속전송, 양방향 전송 가능, 전송거리 최대 1km 이내, 꼬임선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을 주로 전송매체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는 버스형으로 구성하고 논리적으로는 토큰링 방식을 사용하여 매체접근을 하는 LAN 방식은?

정답입니다.
정답 : 3

토큰버스는 이더넷과 토링의 특징을 결합한 것으로, 물리적으로는 버스형으로 구성되고, 논리적으로는 토큰링 방식을 사용하는 매체접근 제어방식이다.















다음 중 유선 LAN 설명이 잘못 된 것은?

오답입니다.
정답 : 2  ==> 2번은 명백히 잘 못 되었지만, 3번도 가능성은음
















<출처: 방송대 사이트>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mage_insert_vba (vba로 만든 이미지 자동 삽입기)

IT 개발자 다이어리 - 2024년 6월 7일 금요일 / 날씨: 흐리다가 맑아짐

Privacy Policy(Chicken Fight - 닭싸움)